Killing Floor

Killing Floor

Not enough ratings
킬링 플로어 1 설정에 관한 가이드
By Bungtak
일반인의 시점에서 만든 가이드입니다.
PC기준에서 만들었으므로 모바일의 가독성은 보장 못합니다.
모든 스크린샷은 원본인 영어입니다.
버그성 팁은 제외합니다.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게임 내부의 설정
게임을 키고 Settings에 들어가시면 설정하는 메뉴가 나옵니다. 첫번째부터 순서대로 설명하겠습니다.


Show the trader path는 상점에 가는 길을 알려주는 붉은 연기를 말합니다. 그대로 두는 걸 추천합니다.
Hint Level은 게임에 대한 도움말이 인게임 중 출력되는 것을 말합니다. 한글패치를 사용하거나 오브젝트 맵을 할 게 아니라면 끄는 게 좋습니다.
Audio Messege Level 같은 경우에는 최소한의 메시지로 바꾸면 웨이브 시작/종료시 상점 판매원의 안내 목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저는 보스 웨이브인지 헷갈려 실수한 적이 많아서 다시 전부 들리게 켰습니다.
Connection은 윈도우 XP시절 경험상 LAN/T1이 가장 빨랐습니다.
Dynamic Netspeed를 사용하면 유저에게 들쭉날쭉한 핑을 유발하는 걸로 추측됩니다. 끄는 걸 권장드립니다.


이 게임은 4:3, 16:10 비율에서 정확한 모습을 나타내고, 대중적인 비율인 16:9 에서는 게임이 텍스쳐를 늘린다고 분석된 결과가 있습니다.
제가 직접 4:3, 16:9, 16:10 로 똑같은 맵을 한번씩 플레이하여 확인해 본 결과, 게임의 플레이할때 느껴지는 이질감은 없다시피 합니다. 정말 민감한 게 아니라면 자신에게 익숙한 해상도와 비율로 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수치상으로는 분명 다르지만 체감시에는 거의 다른 이 문제점은, 저 나름대로 조사해본 결과 고전 게임들 중의 공통적인 문제점이라는걸 파악했습니다.
Fullscreen을 하신다면 화면을 넓게 하는 Widescreen도 추천드립니다.
왠만하면 Vertical Sync과 Triple Buffering를 키시는 게 좋습니다. 두 옵션을 사용하지 않을 시 메뉴화면과 솔로에서 무제한 프레임으로 인해 컴퓨터가 비명을 지를 겁니다.
Texture Detail은 화면에 보이는 맵의 바닥,벽,천장 등 텍스쳐들의 그래픽 높낮음을 조절합니다.
Character Detail은 1인칭에서 보이는 손과 무기, 자신 포함 다른 유저의 캐릭터 그래픽 높낮음을 조절합니다. 커스텀 무기는 가끔 설정을 무시하고 항상 최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World Detail은 하늘과 멀리 보이는 배경 등 Texture Detail에서 제외된 맵의 그래픽 높낮음을 조절합니다.
Scope Detail에서 정조준 상태를 고를 수 있는데 취향을 타지만 저는 Textured를 추천드립니다.
경험상 Model 종류를 사용하다 보면 눈이 피로해질 때가 많습니다.
순서대로 Model(Low), Model(High), Textured입니다.


Physics Detail은 플레이어,제드,오브젝트의 물리 높낮음을 조절합니다.
Dynamic Mesh LOD는 제드나 플레이어 등의 오브젝트가 멀리 있을 때 화면에 보이는 세부사항의 높낮음을 조절합니다.
Decal Stay는 탄흔,폭발 등의 무기 효과가 텍스쳐에 남아 있는 시간을 조절합니다.
Character Shadows는 플레이어들과 제드들의 그림자를 조절합니다. Blob은 모양새가 희미해져 사양을 덜 탑니다. Full은 스킨의 생김새 그대로 보여줍니다.
Antialiasing과 Anisotropic Filtering은 대각선으로 꺾여있는 텍스쳐들을 멀리서 볼 때 픽셀화로 끊겨보이는 것을 부드럽게 뭉뚱그려주는 옵션입니다.
Force FSAA Screenshots은 여기서[www.anandtech.com] 차이점을 확인해주세요.
Motion Blur는 시점을 이동할 때 잔상이 흐릿하게 남는 옵션입니다.
HDR Bloom은 빛이 전체적으로 뿌옇게 표시되는 걸 말합니다. 일종의 셰이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ecals은 Decal Stay 옵션과 연계됩니다. 이걸 켜야 저 옵션도 발동됩니다.
Dynamic Lighting은 빛, 특히 손전등 조명을 입체적으로 표시해줍니다. 이 옵션이 프레임을 제일 많이 잡아먹습니다.
Detail Textures는 여러 Detail과 연계됩니다.
Coronas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같은, 맵 안에 설정한 곳에서 빛이 나게 해 줍니다.
Trilinear Filtering은 Detail Textures와 비슷한 옵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rojectors는 대표적으로 M14EBR의 레이저 사이트를 보이게 / 안보이게 하는 옵션입니다.
Foliage는 유리 같은 장식물의 세부묘사를 보여주는 옵션입니다.
Weather Effects는 날씨 효과, 대표적으로 비나 천둥을 표현하는 옵션입니다.
그냥 이런 설명없이 고전 게임이니까 전부 최상옵으로 돌려도 상관없지만, 사진 속의 제가 사용중인 세팅을 사용하시면 화면이 심심해보이는 단점과 텍스쳐를 정확히 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위가 제가 사용하는 셋팅, 아래가 최상옵입니다.


제 설정을 사용하시면 눈뽕은 덜하면서 사물의 전체적인 디테일들은 최고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오디오는 딱히 건드릴 게 없지만, 어느 온라인 게임이나 보이스 트롤은 존재하기 때문에 보이스 챗을 꺼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 사진대로 셋팅해도 작동하지 않을 시에는, 보이스 챗을 키고 인 게임에서 ESC-커뮤니케이션으로 들어가 특정 유저의 닉네임을 클릭한 뒤 보이스 챗 끄기와 밴 플레이어를 클릭하시면 그 유저 한정으로 작동합니다.


원하는 키에 마우스를 올려두고 백스페이스를 누르면 할당된 키가 사라집니다.
기본 설정에서 키가 겹친다면 전부 공백으로 밀어버리시면 됩니다.
패줌을 하는 습관이 있다면 Quick Iron Sights를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두 번 클릭할 일을 한 번으로 줄여줘 손가락이 더 편합니다.


마우스 옵션들은 가속 기능을 사용하시는 분 제외하고 왠만하면 다 꺼두는 게 좋습니다.
이 게임은 일반인들에게 마우스 소프트웨어 및 DPI 조절 프로그램이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전에 업데이트가 종료되어, 연계성도 없고 CPU의 지분을 깎아먹을 뿐입니다. 특히 Reduce Mouse Lag는 과거에 CPU 소모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꺼야 했던 옵션입니다.
컴퓨터 사양이 상향평준화된 지금은 크게 상관없긴 합니다만, 그래도 쓸모없는 소모는 조금이라도 줄이는 걸 추천합니다.


Light HUD를 사용하시면 HUD를 감싸고 있는 박스들이 사라져 간소화됩니다.
Show Kill Counter는 경우가 애매합니다. 이유는 이 기능이 옛날엔 모드였는데 정식으로 편입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래된 서버 같은 경우에는 아직도 이 기능을 따로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킬 카운터가 똑같은 게 2번 표시됩니다. 자신이 주로 하는 서버에 맞춰 사용하는게 좋습니다만, 범용성을 생각해 그냥 켜두시는게 좋습니다.
나머지 체크상자는 하드코어 플레이나 스크린샷을 찍을 게 아니라면 굳이 건드실 필요 없습니다.
Chat Font Size는 5를 추천합니다. 4는 한글패치를 하건 안 하건 작아서 눈이 피로해집니다.
HUD Opacity는 HUD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옵션입니다.

모든 옵션에서 조절바는 마우스로 클릭 후 방향키로 좌우 조절이 가능합니다.


왼쪽 하단의 Difficulty를 Any Difficulty로 바꿔야 모든 서버가 검색됩니다.
체크상자나 Game Type은 선호도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이 게임은 VAC 의미없습니다.
Internet Games 에서 Refresh를 눌러 서버를 검색하시는 경우에는, 하나하나 천천히 서버가 검색됩니다. 빠르게 검색하시고 싶으시면 Refresh를 누른 다음에 바로 윈도우 키 혹은 알트탭으로 게임 창을 최소화 시킨 뒤 3~4초를 세시고 다시 창을 띄우면 거의 모든 서버가 검색되어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신다면 대략 서버 100개 당 1초가 걸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특정 서버를 주로 하게 된다면, 인터넷 게임 목록을 새로고침해서 들어가는 것보다 즐겨찾기에 서버를 추가해서 접속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서버명에 마우스를 올리고 오른쪽 클릭을 하면 Add To Favorites가 뜨는데 그걸 클릭하시면 추가됩니다.
게임 외부의 설정
스팀 폴더를 찾고 Steam\steamapps\common\KillingFloor\System 에 들어가셔서 KillingFloor.ini 란 구성 파일을 찾고 열어줍니다. 그리고 Ctrl+F 혹은 편집에서 찾기를 사용하세요.


System과 Textures 폴더만 있는 곳이 아닙니다.사진의 폴더 목록이 있는 곳이 게임 파일이 있는 곳입니다.

LAA 수정 시스템 파일 덮어쓰기
이걸[guardiansworlds.com]다운받고 압축 풀어 System 폴더에 덮어씌우세요.
guardianknights는 LAA 플래그를 직접 수정하여 기존 게임 파일이 램을 2GB 이상 활용하지 못하는 것을 해결하였습니다. 가장 체감되는 부분은 모든 모드에서 서버 접속시 로딩이 미세하게 빨라집니다.
(다운로드와 로딩은 서로 별개의 부분입니다)

그래픽카드의 램 사용량 재설정
DetectedVideoMemory를 찾고 자신의 그래픽카드에 맞는 값으로 변경합니다.
예 : 8GB의 그래픽카드는 8192MB이며 GTX1080ti는 11120MB이다.

고어 시스템 재활성화
[Engine.Engine]을 찾고 다음 해당 목록의 맨 아래에 bdevgoreoverride=True를 추가합니다.
이 게임은 가이드 작성일 기준으로 정말 최소한의 유지보수인 잠수함 업데이트를 가끔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업데이트 시 설정이 꼬여 고어효과가 비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니 안전빵으로 써 두시는 걸 추천합니다.

캐시 자동 삭제 재설정
PurgeCacheDays를 찾고 원하는 날짜로 변경합니다.
캐시란 기본 게임에 없는 개인 서버의 모든 추가 컨텐츠 파일들을 말합니다.
0으로 정해두면 영원히 지워지지 않습니다.
0 이상 정해두면 컴퓨터 시스템에 기록된 수정한 날짜를 확인하고, 그 숫자에 따른 날짜가 지나면 게임 접속시 자동으로 삭제합니다.
개인 서버 운영자가 아주 작은 파일이라도 업데이트해서 새롭게 교체된다면 똑같은 걸 다시 다운받습니다.
따라서 "핑 낮은 서버에서 클래식을 주로 즐기는 사람" 에게는 메리트가 없는 설정입니다.
커스텀 위주로 하는 분들에게는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여러 서버를 왔다갔다하면 용량이 매우 늘어날 수도 있으니, 90일을 추천드립니다.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은 사진에 보이는 Cache 폴더입니다.

캐시 다운로드 크기 재설정
CacheSizeMegs를 찾고 실제 작동하는 최대의 값인 512로 변경합니다.
이 설정은 캐시의 다운로드를 기존보다 훨씬 더 빠르게 바꿔줍니다.
가장 체감할 수 있는 곳은 핑 100이상의 서버들입니다.
1024도 작동하지만 튕김이 많고 Guardian의 그래픽 모드를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
512로 설정 후 크래시가 자주 일어나신다면 256으로 줄여보세요.

프레임 강제조절
킬링 플로어는 솔로를 제외한 게임에서 기본 90fps 체감 85fps로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바꿀 순 있습니다만 좀 번거롭게 사용하셔야 합니다.
MaxClientFrameRate를 찾고 자신의 모니터에 맞는 프레임으로 변경합니다.
예 : MaxClientFrameRate=280.000000
그리고 인게임에서 서버에 접속 (맵 변경,재접 등 모두 포함) 할 때마다 콘솔에서 netspeed를 변경해 주셔야 합니다.
이걸 단축키로 할당하여 그나마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콘솔을 열고 set input 원하는 키 영어로 작성 netspeed xxxxx를 입력하세요.
예 : 쉬프트키에 할당하려면 set input shift netspeed 20000 으로 작성
주의할 점은 netspeed를 20000 이상으로 설정하면 서버 새로고침 버튼과 서버들의 정보 표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로비 동영상 보지 않기
Movies 폴더를 삭제합니다.
이렇게 하면 서버 접속시 왼쪽 하단에 나오는 개발사의 오래된 광고를 삭제하여 빈 박스로 표시합니다.

모두 클래식 세션이 저장되는 화이트리스트입니다.
리슨 서버 만드는 방법
리슨 서버란? 유저가 지식 없이도 간단히 만들 수 있는 일회용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서버를 만든 사람이 접속을 해제하면 그 서버는 사라집니다.
한국식으로 말해서 방 판 사람이 나가면 그 방은 그 즉시 터집니다.


메뉴 화면에서 Host Game을 누르면 이 화면이 뜨는데, Killing Floor는 일반 맵이고 Objective Mode는 스토리가 있는 맵입니다. 파일 이름의 KF와 KFO로 구분하면 됩니다.


Difficulty에서 난이도를 선택하시면 되고, Game Length는 웨이브 갯수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Short / Medium / Long = 4 / 7 / 10 웨이브 입니다.
Maplist Configuration을 클릭 후 오른쪽 하단의 Remove All 을 클릭 후에 왼쪽 하단의 Add All을 클릭하시고 오른쪽 맵 리스트에 맵이 전부 들어갔나 확인합니다.


상단의 Server Rules를 클릭한 뒤 왼쪽 하단의 View Advanced Options 체크상자에 체크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자세한 조절 옵션들이 뜹니다.
Admin Name은 서버 목록에서 표시되는 정보에 표기되는 서버 관리자명을 적는 곳입니다.
Admin Password는 서버를 만들고 난 뒤에, 그 서버 안에서 콘솔을 열고 Adminlogin '작성한 비번' 을 입력 후 엔터치면 관리자로 로그인 됩니다.
리슨 서버에서 관리자로 로그인 한 경우에 쓸만한 것은, 콘솔 명령어 Adminsay '원하는 말 입력' 을 사용하면 서버 내 모든 유저의 화면 중앙에 그 말이 보입니다.
Game Password는 다 아시죠? 지인이랑 '만' 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하세요.
Server Name, Max Players 도 다 아실거라 생각하고 생략합니다.
Max Spectators는 관전자 인원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Enable Map Voting 과 Use MapLists 이 2개가 체크해제되어 있을건데, 꼭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까 설정한 모든 기본 맵을 사용할 수 있고, 다음 맵 선정 시 유저투표가 가능해집니다.
Anonymous Kick Voting은 관리자가 아닌 사람도 킥 투표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게 켜져 있으면 관리자로 로그인 한 사람이 킥을 할 시 시스템이 밴으로 간주합니다.
Enable Kick Voting은 킥 투표 기능 사용 유무입니다.
Enable Voice Chat은 마이크 기능 사용 유무입니다.
나머지는 리슨 서버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으므로 생략하셔도 무방합니다.

설정이 다 됐으면 오른쪽 하단의 LISTEN을 눌러 서버를 만듭니다.
창작마당 모드 다운받는 방법
보통은 외부 사이트에서 다운받게 주소를 공유해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는 다른 게임들처럼 유연하게 모드를 다운받을 수 없기에, 모드를 어떻게 받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모드를 구독하고 난 뒤에 게임에 접속합니다. 그러면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은) 잠시 후에 오른쪽 상단에 다운로드 끝났다는 알림이 뜹니다.
확인하고 게임을 재부팅 한 뒤, 모드 적용을 확인합니다. 재부팅해야 다운받은 모드가 게임에 적용됩니다.

만약 여러 개를 구독하셨다면, 내가 구독한 아이템의 목록 최상단의 것 '만' 다운받아집니다.
최상단에 있는 모드를 받고 난 뒤 위의 과정을 겪고 구독 취소하고, 게임을 재부팅해 최상단에 새로 올라온 모드를 받습니다.
구독하신 모드들을 다 다운받으실 때까지 이걸 무한반복 해야합니다.
튕김의 원인
킬링 플로어는 크래시가 굉장히 빈번합니다.

종류는 2가지가 있습니다.

Critical Error
이 문제는 언어패치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빈번히 일어납니다.
킬링 플로어는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러시아어만 지원합니다.
그래서 한글패치가 몇 번 나왔었는데, 인게임에서 한국어를 적다가 튕기는 일이 너무 많더라구요.
제 생각엔 게임에서 지원하지 않는 언어를 사용해서 그렇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해결책은 한글패치를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면 튕김 자체를 볼까말까 할 정도로 줄어듭니다.

Runtime Error
이 에러는 모드의 퀄리티를 게임 엔진의 한계까지 끌어낸 서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가이드 작성일 시점에서 이 에러를 주로 볼 수 있는 커스텀 서버는 Guardians, UltimateGamingServer 입니다.
또한 게임을 하면 제드의 시체 및 잔해물이 바닥에 남아있게 됩니다.
그것들은 바닥을 관통해서 사라지거나 잠시 후에 눈앞에서 없어지는 경우로 나뉩니다.
그 상황이 같은 장소에서 계속 일어나면 이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땐 임시로 수습하는 명령어 obj garbage 를 콘솔을 열고 입력해 엔터 쳐 주세요.
저 명령어는 승리/패배한 직후나 맵이 바뀌고 난 직후에 쓰는 것이 좋습니다.
완벽한 해결책은 되지 않는 점 유의해 주세요.
어디까지나 임시적인 해결책일뿐, 제일 안전한 방법은 게임 2판하고 껐다 키는 겁니다.

에러로 인한 크래시가 반드시 작성된 상황 때문에 일어나는 건 아닙니다.
마치며
아무튼 도움됐길 바라며 훈수는 환영입니다.

크레딧
dlrhkdtpkf / 이 가이드 작성자 및 게임 외부 설정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
guardiannknight / 게임 외부 설정 가이드의 대부분 및 내부 설정의 화면 비율
PCGamingWiki / 게임 외부 설정의 bdevgoreoverride=True
MBC / 콘솔 명령어 obj garbage
4 Comments
신수라 10 Jul @ 7:05am 
아주 좋은 가이드군요 :steamhappy::steamthumbsup:
Chickenman 10 Jul @ 5:11am 
GOAT setting 나 같은 뉴비에게 도움이 되는 설정법입니다 개추
E.F.F.E.C.T 10 Jul @ 4:06am 
good
TOBI 10 Jul @ 3:59am 
멍추